Announcements
[참고자료] IBM, 글로벌 CEO 연구 조사 발표…“AI 투자 속도 더 빨라진다”

한국IBM은 17일 여의도 국제금융센터 더 포럼에서 “AI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하고, 한국IBM 컨설팅의 김현정 대표가 최근 IBM 기업가치연구소(IBM Institute for Business Value, 이하 IBV)에서 실시한 글로벌 CEO 연구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CEO들은 AI 기술을 도입하면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조직 전반에 AI 솔루션을 확대 적용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 CEO들은 세계 다른 국가의 CEO들에 비해 AI 기술 도입에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CEO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IBM CEO 연구[1]’에 따르면, 향후 2년 안에 AI 투자 성장률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글로벌 CEO의 61%는 현재 AI 에이전트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조직 전반에 확산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설문에 참여한 국내 CEO들의 45%만이 이에 동의해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러한 동향은 다른 설문에서도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글로벌 CEO의 64%는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을 우려해 해당 기술이 조직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명확히 이해하기도 전에 일부 기술에 투자하고,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한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국내 CEO의 경우, 같은 질문에 리스크를 감수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2%로 더 낮았으며, 기술 도입에 있어 ‘빠르게 진행해 시행착오를 겪는 것’이 ‘느리고 정확하게 진행하는 것’보다 낫다고 답변한 비율은 28%에 불과해 글로벌 CEO의 응답률인 37%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
글로벌 CEO의 59%는 예상치 못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기존 운영 자금과 혁신에 대한 투자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67%는 장기적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디지털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더 많은 예산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AI가 가져오는 변화가 크다고 느끼는 것은 국내 CEO도 동일했다. 글로벌 CEO의 68%는 AI가 비즈니스의 핵심 요소까지 바꾸고 있다고 답했을 때, 국내 CEO의 78%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54%는 향후 경쟁력은 누가 더 앞선 생성형 AI를 보유하는가에 달려있다고 답했다.
한편, 응답한 글로벌 CEO의 68%는 전사 차원의 데이터 통합 아키텍처가 부서 간 협업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72%는 조직이 보유한 고유 데이터가 생성형 AI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번 연구는 기업들이 효과적인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했다. 응답자의 절반(50%)은 최근 투자 속도 때문에 조직 내 기술이 단절되고 단편적인 기술만 사용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CEO의 65%는 ROI를 기반으로 AI 활용 사례를 적용하고 있으며, 68%는 혁신 ROI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명확한 지표를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진행된 AI 프로젝트 중 예상 ROI를 달성한 비율은 25%에 불과했고, 단 16%만이 기업 전체로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56%의 CEO는 핵심 기술 인재 확보 및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고, 66%는 아웃소싱의 한계를 인식, 소수의 정예 파트너와의 전략적 협력에 집중한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이어진 패널토의에서는 서울시의 다양한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서울AI재단 AI 혁신사업본부의 주성환 본부장, 미래에셋증권 AI 본부의 주세민 본부장, 코웨이 DX 센터의 김동현 전무 등이 무대에 올라 공공 및 민간 조직에서 AI 도입의 전략적 의미와 프로젝트를 실제로 실행하면서 직면한 어려움과 AI 도입 시 핵심 조건과 조언 등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
[1] IBM 기업가치연구소는 옥스퍼드 이코노믹스(Oxford Economics)와 협력해 2025년 2월부터 4월 사이 33개국, 24개 산업에 걸쳐 2,000명의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문항은 조직 성과, 전략적 우선순위, 혁신 과제, 기술 도입(AI 포함), 의사결정 방식, 리더십 접근, 인재 전략, 변화 수용 문화, 협업 노력, 규제 이슈 등 여러 분야를 포괄했다.